“은행 이자는 2%도 안 되는데, P2P는 연 10%래요!”
저도 이 말 듣고 P2P 투자에 관심을 가졌던 사람이에요.
심지어 광고도 매력적이죠.
“담보가 있다”, “건설 프로젝트에 투자”, “매달 이자 수령 가능”
하지만 현실은요?
투자한 지 2년, 원금 회수는커녕 아무런 연락조차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
당연히 이자도 없고, 민사소송도 불가능.
P2P 투자에 발을 들였다가, 결국 수백만 원 손해 본 사람도 많더라고요.
그래서 오늘은
👉 “P2P 투자의 진짜 위험성”
👉 “실제 실패 사례”
👉 “투자 전 반드시 확인할 체크리스트”까지
한 번의 클릭으로 돈을 잃지 않도록, 현실적인 정보를 모두 알려드릴게요.
📌 목차
- P2P 투자란? – 고수익의 이면
- 실패 사례로 보는 P2P 투자 위험성
- 대표적인 P2P 사기 유형 (테라펀딩 포함)
- 내가 투자한 P2P 괜찮은 걸까? 확인법
- 안전하게 투자하려면 반드시 확인할 5가지
1. P2P 투자란? – 고수익의 이면
P2P(개인간 금융)는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와 대출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예요.
쉽게 말하면, 내가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구조죠.
수익률 | 연 6~12% (고수익으로 홍보) |
투자처 | 부동산 PF, 소상공인 대출, 개인신용대출 |
플랫폼 수익 구조 | 대출자 수수료 + 투자자 중개수수료 |
✅ 표면상 담보가 있거나 리스크를 분산했다고 말하지만,
사실상 ‘대출 부실’이 터지면 투자자가 직접 피해를 보는 구조입니다.
2. 실패 사례로 보는 P2P 투자 위험성
💥 사례1: A씨 – 테라펀딩에 3,000만 원 투자
- 담보: 수도권 다세대주택 근저당
- 수익률: 연 9%
- 투자결과: 회수 불가
- 이유: 시공사 도산 → 공사 중단 → 경매 지연 → 배당 지연 → 3년째 못 받는 중
💬 “수익률 높은 게 중요한 게 아니라, 아예 못 받는다는 게 진짜 리스크라는 걸 깨달았어요.”
💥 사례2: B씨 – 8개 플랫폼 분산 투자했지만 결국 전부 연체
- 일부는 원금 회수, 대부분은 연체 지속
- 한 곳은 아예 P2P 업체가 폐업
- 사기 수법으로 허위 담보자료 제출 확인
💬 "분산 투자했으니 안전할 줄 알았는데, 플랫폼 전체가 부실할 줄은 몰랐죠."
3. 대표적인 P2P 사기 유형 – 테라펀딩 사례 포함
✅ 1) 부실 PF 대출
- 아직 공사도 시작 안 한 땅에 선분양 방식 투자 유치
- 분양률 낮고, 시공사 도산 시 리스크 전가
✅ 2) 허위 담보
- 감정가 조작 / 가짜 감정서
- 실제 가치는 낮은데, 고평가해서 담보잡고 투자 유치
✅ 3) 플랫폼 자체 부도
- 테라펀딩 등 다수 업체가 부실 자산 연속 연체
- 심지어 P2P 업체 대표가 횡령 혐의로 입건
💥 P2P는 플랫폼을 믿는 게 아니라, ‘심사 능력’을 의심해야 합니다.
4. 내가 투자한 P2P 괜찮은 걸까? 확인법
아래 항목에 해당되면 위험 신호입니다:
PF 비중 70% 이상 | ⚠️ 부동산 경기 민감 |
담보가 신축 아파트 / 미분양 | ⚠️ 환금성 낮음 |
최근 6개월 이상 이자 미지급 | ⚠️ 연체 위험 |
대표 이력 확인 안 됨 | ⚠️ 도산/폐업 가능성 |
감정평가사가 비인가 업체 | ⚠️ 조작 의심 |
✅ 금융감독원 등록된 업체인지, 연체율이 얼마나 되는지도 꼭 확인하세요.
5. 안전하게 투자하려면 반드시 확인할 5가지
- 금융감독원 등록 여부 확인
→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에서 확인 가능 - 연체율·부실률 공개 여부
→ 최근 연체율이 5% 이상이면 매우 위험 - 투자 설명서 / 담보 내용 세부 확인
→ 감정평가서, 담보 위치, 경매낙찰가 등 꼼꼼히 보기 - 현금 유동성 확보
→ 최소 3개월 이상 돌려받지 못할 상황을 대비 - 단기 목표자금은 절대 투자 X
→ 목돈 마련, 전세자금 등은 절대 P2P에 넣지 마세요!
✅ 결론 : 수익률보다 중요한 건 ‘회수 가능성’입니다
P2P는 겉보기에 안정된 담보와 고수익을 내세우지만,
결국 ‘상환이 안 되면 무의미한 숫자’일 뿐이에요.
아무리 연 10% 수익률을 제시해도
원금 못 받으면 100% 손해라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.
👉 P2P는 수익보다 리스크 관리가 더 중요한 투자처입니다.
투자 전엔 반드시 업체 신뢰도, 연체율, 담보 회수 가능성을 체크하세요.
내 돈은 내가 지키는 시대, 반드시 기억해두세요.
🔖 생활 꿀팁 모음
연금저축 수령 시기별 실수령액 차이 🔍 55세 vs 60세 vs 65세
연금저축, 수령 시작 나이에 따라 ‘최종 받는 돈’이 이렇게 다르다고요?“연금저축은 만 55세 이후부터 수령 가능합니다.”설계사 말 듣고, 저도 월 30만 원씩 열심히 연금저축 넣고 있었죠.근
22.loveandwar.kr
주부대출 쉽게받는 곳 TOP5 주의사항 총정리
이번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주부대출 쉽게 받는 곳 TOP5 및 주의사항 총정리를 준비했어요.특히 전업주부나 무직자 분들은 대출이 막혀서 생활비나 카드값 돌리기조차 어려운 상황
22.loveandwar.kr
소액대출 100만원 💸 가능한 곳
사실 100만 원이라는 금액은카드론처럼 고금리 쓰자니 아깝고,친구나 가족에게 빌리긴 애매하죠. 저도 예전에 병원비 80만 원 급하게 필요했던 적 있었는데,당장 통장에 5만 원 남아있던 시절…
22.loveandwar.kr
'안전한 재테크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금저축보험 해지사유 베스트 3 🔍 후회하지 않으려면? (0) | 2025.07.15 |
---|---|
연금저축 수령 시기별 실수령액 차이 🔍 55세 vs 60세 vs 65세 (0) | 2025.07.14 |
연금저축보험 공시이율 궁금하셨죠? (0) | 2025.06.22 |
연금저축보험 최대공제 한도는? (0) | 2025.06.22 |
연금저축보험 연말정산 될까요? (0) | 2025.06.22 |